2008. 12. 16. 15:54경 전남 영암군에 위치한 OO주유소에서 지하탱크(5기)에 대해 슬러지(찌꺼기) 제거작업 중 유증기가 폭발하여 1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폭발사고는 청소대행 전문업체에서 상기 주유소 세 번째 지하탱크(휘발유6,000ℓ)에 조명등을 휴대하고 슬러지 제거작업 후 나오는 순간 원인미상의 점화원에 의한 유증기 폭발로 내부 작업자가 현장 사망한 사고로 사고현장에 특별한 발화원이 없고, 작업자(2명)의 진술로 보아 조명등에서 발생한 전기스파크 또는 정전기에 의한 폭발로 추정된다.
이 사고는 유류탱크 청소나 내부 점검시 Purge(유증기제거)후 작업을 실시해야 하나 충분한 안전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조명등, 기타전기설비의 스파크 방지조치 및 정전기제거조치가 미흡하여 발생한것으로 분석된다.
Purge(유증기 제거) 방법
1. Dilution Purging
Purge 중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서 질소를 지속적으로 용기 내에 불어 넣어줌으로서 퍼지 대상물의 농도를 낮추어 주는 방법으로서, Vent 작업은 Purge 공정중 계속적으로 진행 됨.
- 용기의 퍼지 압력을 최소화 할 수 있음.
- 질소 주입 속도를 최대화 할 수 있음.
- Bulk Storage Tank 등의 Purge時 사용.
2. Displacement Purge
질소가 Vessel 내에서 마치 Piston 처럼 밀고 올라오는 방법으로, 이론적으로는 내용적의 1배만 Gas가 필요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임.
- 질소보다 무거운 가스일 경우에는 반대방향으로 Purge 함.
- 질소 소모량 최소화 할 수 있음.
- 주입속도를 최소화함.
- 길고 좁은 Chemical Reactor 나 Pipeline 등의 Purge시 사용.
3. Pressure Purging
주로 비정상적인 형태의 Vessel을 Purging 할 때 내부가스와 질소를 혼합하여 효율적으로 이루어짐.
압력은 5psi의 15psi로 2단계에 걸쳐서 시행하나 Flow 와 압력은 상태에 따라 각각 다름.
Pressure Purging을 Dilution Purging보다 느리게 할 경우에는 배출양 조절 System이 필요 없다.
- Railroad Car Purging
4. Vacuum Purging
Vacuum Purging 은 Dilution Purging과 진공System을 병합하여 그 효율을 높이게 된다.
이는 가스 불순물을 극도로 낮출 경우에 사용하게 된다.
일차, 진공으로 불순물 농도를 낮추고, 다음에 질소로 압력을 올리고, 다시 진공 시키는 과정을 되풀이함.
- Purging air from a Spherical Reaction Kettle
'소방에 대하여 > 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9의 유래와 화재신고제도의 변천 (0) | 2008.12.30 |
---|---|
소방관 생존을 위한 50가지 방법 (0) | 2008.12.26 |
매몰사고시 행동요령 (0) | 2008.12.17 |
화재시 행동요령 (0) | 2008.12.13 |
소방 안전관리 인증제 인증패 도안 (0) | 2008.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