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가 확대되면
소화기로는 소화가 곤란하지요.
이럴때 건물내 설치된 옥내소화전을 사용하면 화재를 진압할 수 있지요!!!
옥내소화전의 모습입니다.
열어놓은 모습입니다.
소방호스는 아래그림에서 보는것과 같이 지그재그식(아코디온 방식)으로 적재하는것이 좋습니다.
돌돌 말아서 수납하면 화재시 소방호스를 전개할 때 수관이 돼지꼬리처럼 돌돌 말려서
꼬이게 됩니다. 물이 나오는 속도가 늦어 지기도하고 심하면 방수가
불가능해지기도 합니다.
또 한가지 유의할 사항으로
오래동안 소방호스를 사용하지 않으면 소방호스가 딱딱하게 경화되게 됩니다.
요즘 생산되는 소방호스는 제품의 질이 뛰어 나지만
오래전 생산된 소방호스는 반드시 점검하여 이상이 있을때
교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화전의 명칭입니다.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를 알리기 위해 발신기 스위치를 눌러주세요.
소화전 문을 열고 관창(물을 뿌리는 부분)과 호스를 꺼냅니다.
관창과 호스를 잡고 화재발생 장소로 이동합니다.
소화전밸브(앵글밸브)를 왼쪽으로 돌립니다.
이때 가압된 물이 소방호스와 관창에 차게 됩니다.
관창을 열고 화재가 난 장소에 소화수를 뿌립니다.
여러분이 소화전을 사용할 무렵 소방대가 도착됩니다!
(서울소방에서는 평균 5분내 도착을 위해 오늘도 노력하고 있습니다.)
'소방에 대하여 > 소방시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하 대형주차장 스프링클러 적응성 검토 (0) | 2008.07.03 |
---|---|
우리 지하철 소방시설 (0) | 2007.10.18 |
일본 지하철 피난시설 (0) | 2007.10.17 |
투척용소화기 사용법 (0) | 2007.09.05 |
소화기 사용법!!! (0) | 2007.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