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방에 대하여/소방교육

Fool proof와 Fail safe

방화피난 등에 관한 방재계획을 아무리 안전을 배려하여 계획했다 하더라도 인간이 설계한 시스템에는 항상 예측불허의 사태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시스템의 목적인 안전을 달성하고 당초 설계 대로의 기능 발휘를 위해 “Pool proof" "Fail safe"라는 대책을 강구하게 된다.

Pool proof Fail safe는 원래 시스템 안전공학을 바탕으로 기계 및 설비안전에서 나온 말로, 이들 방안은 건축뿐만 아니라 산업설비, 자동차, 항공기의 설계 등에도 채용된다.

 

1. Fool Proof

  시스템의 이상 또는 비상사태 시 인간의 행동특성에 따라 혼란 없이 쉽게 동작을 실행하거나 대응할 수 있도록 단순하고 명쾌한 배려를 한 대책(계획)이다.

기술적으로 비록 초보자가 조작을 하더라도 안전이 확보되어 Human error에 의한 사고나 재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기계 설비측면에서 설계된다.

<실제응용>

소화설비경보기기의 위치나 유도표시를 쉽게  볼 수 있는 색채나 형상으로 한다.

피난방행으로 도어를 열 수 있게 해둔다.

도어 노브는 회전식이 아니라 레버식으로 한다.

정전시 에도 피난구를 알 수 있도록 외광이 유입되는 위치에 도어를 설치한다.

비행기가 지상에 정지되어 차륜 브레이크가 작동되어 있을 동안 바퀴 잡아 끌기용 유압장치(버튼을 잘못 누르면 유압장치에 의해 다리가 끌려올라가 동체와 접촉되어 파괴가 일어나는 실수 방지)는 잠겨있도록 설계한다.

 

2. Fail Safe

화재발생에 의해 시스템의 일부가 고장 나거나, 그 결과 건축물의 일부가 불이나 연기에 오염된 상태가 되더라도 일정한 안전성이 보증되는 것을 말하며 결국 설비나 기계의 이상이나 재해가 발생하더라도 안전한 쪽으로 작동하여 바로 중대한 사고나 위험을 방지하고 재해에 연결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을 말한다.

<실제응용>

재해 초기단계에서 서브시스템의 일부를 적극적으로 붕괴되게 해 두고, 고장이나 이상상태가 그 이상의 시스템 전체로 진행되지 않도록 계층적인 구조를 취한다.

시스템에 여분을 준비해 두고 일부가 무너지더라도 다른 부분이 작동하며 본래의 목적이나 기능을 달성되도록 한다.

결국, 시스템의 병렬화에 의한 대책으로 건축방재계획에서는 피난 설계시에 2방향 피난을 도입하는 것이 대표적 예이며, 산업설비에서는 Stand-by system을 구비하여 비상시에도 사고나 재해로 연결되지 않도록 하는 설계이다.

시스템 일부분의 장해가 전체의 고장이나 이상으로 진행되지 않도록 방지책을 강구하는 것으로 화재의 발생을 어렵게 하거나 확대되지 않도록 안전도를 높인 설계도 해당된다.

철도의 신호기가 고장 난 경우에는 반드시 붉은 등이 켜지도록 하여 열차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시스템

비행기가 무리한 착륙으로 바퀴가 날개를 때리더라도 연료탱크에 충격을 주어 화재발생이 되지 않도록 상호간의 설치위치를 고려하는 설계

부분화(방화구획, 방연구획), 다중화(비상전원, 고가수조방식의 수원, 수계시스템의 Loop배관 및 Grid 배관)